database 썸네일형 리스트형 MySQL 아키텍쳐 MYSQL 이란 MySQL은 전세계적으로 잘알려진 오픈소스 관계형 테이터베이스 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 의 질의언어인 SQL을 사용,쓰레드기반의 운영체제이며 매우 빠르고 광범위하며 사용하기 쉬운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리눅스나 윈도우, 유닉스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MySQL 구조 MySQL 구조는 MySQL엔진과 스토리지엔진으로 구분하는데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및 쿼리 요청을 처리하는 커넥션 핸들러와 SQL파서 및 전처리기, 쿼리의 최적화된 실행을위한 옵티마이저가 중심을 이룹니다. 2. 엔진의 역할 및 동작순서 2-1. MySQL엔진 MySQL 엔진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중심을 이룹니다. 접속 및 쿼리 요청을 처리하는 커넥션 핸들러,SQL 파서,전처리기.. 더보기 JWT의 정의 1. 정의 JWT는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과 같이 유저를 인증하고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암호화시킨 토큰을 의미합니다. Access Token을 HTTP 헤더에 실어 서버로 보내게 됩니다. 여기서..http헤더란? = HTTP 헤더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 또는 응답으로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Http Header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4가지가 있습니다. General header : 요청과 응답 모두에 적용되지만 바디에서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는 헤더. Request header : 페치될 리소스나 클라이언트 자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 내가 보내는 메세지의 헤더 Response header : 위치 또는 서버 자체에 대한.. 더보기 쿠키와 세션 HTTP의 특징 및 쿠키, 세션 , JWT 의 장점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웹 사이트들의 경우, 한 번 로그인 하면 다시 로그인할 필요 없이 여러 페이지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브라우저를 껐다 켜도 로그인이 유지가 되기도 합니다. 이는 HTTP의 비연결성 및 무상태성 특징을 보완한 기술인 Cookie와 Session 덕분입니다. 1.쿠키 ( Cookie ) 쿠키란, 클라이언트 측(브라우저)에서 key-value로 관리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을 의미합니다. 쿠키에는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쿠키 구성 요소 이름 값 유효시간 도메인 경로 쿠키는 클라이언트 key-value 쌍으로 로컬에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입니다. 유효시간 내에서는 브라우저가 종료.. 더보기 http의 간략한 개념과 큰 특징 HTTP란 ?? HTTP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입니다. HTTP는 월드 와이드 웹(WWW)에 내재된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여기서의 프로토콜(Protocol)이란? 프로토콜은 규약을 의미하는데 ' 네트워크(관계망)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범세계적 공통의 협약을 말합니다. '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성격에 따라 프로토콜이 만들어졌는데 HTTP를 사용해야하고 파일을 주고 받을 때는 FTP, 메일은 SMTP, POP 등 전송 계층과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져있습니다. & HTTP의 특징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비 연결성(Connectionless) HTT.. 더보기 DNS란 무엇인가? 1. DNS란?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이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주소라고 합니다. ip주소는 111.22.33.44 와 같은 숫자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사람이 기억하기 매우 어려움에 따라 도메인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도메인은 바로 이러한 숫자들을 우리가 기억하기 쉽게 이름을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www.google.com이 바로 도메인입니다. 2.하는일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DNS(Domain Name System)는 범국제적 단위로 웹사이트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환경/시스템이다. 3. .. 더보기 로드밸런서(ELB) 1. ELB ※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란 ※ 과거와 달리 폭팔적인 IT기기의 보급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대규모의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대규모의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서버를 로드밸런서라고 부릅니다. elb란 간략히 로드밸런서를 의미하는데 정확히 설명하면, 아마존(Amazon)이 제공하는 클라우드서비스인 aws는 elb란 이름으로 로드밸런서를 제공합니다. 1-1. 왜 로드밸런서를 써야하는가.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시스템이 항상 작동하고 액세스 가능, 가동 중지를 최소화하도록 보장하는 가용성과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에 장애가 있어도 시스템이 계속 작동할 수 있는 내결함성의 기능이 전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1-2.로드밸런서의 기능과 특징 (1)Health Check 기본적으로 .. 더보기 이전 1 다음